시인의 사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인의 사랑》은 제주도를 배경으로, 창작의 고통과 무정자증으로 고뇌하는 시인과 그의 아내, 그리고 소년의 위태로운 관계를 그린 영화이다. 양익준, 전혜진, 정가람 등이 출연하여 섬세한 연출과 배우들의 호연으로 호평을 받았다. 2017년 전주국제영화제, 도쿄국제영화제 등 여러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며,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각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촬영한 영화 - 쉬리 (영화)
《쉬리》는 1999년 개봉한 한국 첩보 액션 영화로, 남북 정보기관 요원들의 첩보전과 액체 폭탄을 둘러싼 갈등을 긴장감 있게 그리며, 혁신적인 CG와 액션, 최고 배우들의 열연으로 한국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촬영한 영화 - 시월애
2000년 개봉한 이현승 감독의 영화 《시월애》는 시간차를 두고 '일마레'라는 집을 공유하는 두 남녀가 편지를 통해 소통하는 판타지 로맨스 영화로, 한국 멜로 영화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2017년 성소수자 영화 - 아토믹 블론드
아토믹 블론드는 1989년 베를린을 배경으로 MI6 요원이 살해된 동료의 복수와 소련 측 스파이 명단을 되찾기 위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2017년 액션 스파이 영화로, 샤를리즈 테론, 제임스 매커보이 등이 출연하며 스타일리시한 액션과 1980년대 음악, 복잡한 스토리로 호평받았다. - 2017년 성소수자 영화 - 송 투 송
테렌스 맬릭 감독의 2017년 미국 드라마 영화인 송 투 송은 라이언 고슬링, 루니 마라, 마이클 패스벤더, 나탈리 포트만, 케이트 블란쳇 등이 출연하며 텍사스 오스틴 음악계를 배경으로 꿈, 사랑, 배신, 상실을 겪는 인물들의 복잡한 관계를 그린 작품으로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에서 초연 후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영화 - 다세포 소녀
다세포 소녀는 대한민국 무쓸모고등학교를 배경으로, 가난과 빚에 시달리는 소녀가 매춘, 자살 시도, 여장남자, 짝사랑하는 남학생과의 관계를 겪으며 학교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그리는 영화이다.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영화 - 길복순
길복순은 MK ENT. 소속 킬러 길복순이 딸을 키우며 계약 갱신을 앞두고 대결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시인의 사랑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시인의 사랑 |
로마자 표기 | Siinui sarang |
영어 제목 | A Poet's Love |
감독 | 김양희 |
제작자 | 안영진 |
각본가 | 김양희 |
주연 | 양익준 전혜진 정가람 |
음악 | 구자완 |
촬영 | 최윤만 |
편집 | 이영림 |
제작사 | 영화사 진 미인픽쳐스 |
배급사 | CGV 아트하우스 |
개봉일 | 2017년 4월 29일 (전주국제영화제) 2017년 9월 14일 (대한민국) 2020년 11월 13일 (일본) |
상영 시간 | 109분 |
제작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흥행 수입 | 미화 89,506 달러 |
2. 등장인물
wikitext
- 양익준: 시인 역 및 팔리지 않는 시인이자 무정자증 환자인 현택기 역을 맡았다.
- 전혜진: 아내 역 및 택기의 아내로, 돈을 벌지 못하는 남편을 대신해 가계를 책임지는 강순 역을 맡았다.
- 정가람: 소년 역 및 도넛 가게에서 일하는 청년 세윤 역을 맡았다.
- 원미연: 노모 역 및 늙은 어머니 역을 맡았다.
- 방은희: 소년 모 역 및 세윤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 이난: 소년 부 역 및 세윤의 아버지 역을 맡았다.
- 김명진: 소녀 역
- 김종수: 동인회장 역
- 백지원: 턱주가리 역
- 김성혁: 청년 1 역
- 한우성: 청년 2 역
- 김성호: 방과후 남학생 역
- 문소현: 방과후 여학생 역
- 최희진: 의사 역
- 신기원: 잔칫집 지인 1 역
- 차정민: 잔칫집 지인 2 역
- 조용휘: 런닝맨게임 남고생 역
- 최재욱: 통닭집 주인 역
- 문신우: 시인 아기 역
- 고시전: 할아버지 역
- 김세홍: 할아버지 아들 역
- 이지은: 알바생 역
- 문희현: 간호사 역
- 최영우: 잔칫집 신랑 역
- 강지혜: 잔칫집 신부 역
- 강민건: 소년일행 역
- 강지우: 소년일행 역
- 홍연이: 소년일행 역
- 송용환: 동인회원들 역
- 송태완: 동인회원들 역
- 이건창: 동인회원들 역
- 이은주: 동인회원들 역
- 이재우: 동인회원들 역
- 최우영: 동인회원들 역
- 한지영: 동인회원들 역
- 소선: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양순덕: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정윤선: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강승훈: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고정민: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김수영: 오프닝 승객들 역
- 박혜란: 오프닝 승객들 역
- 양옥이: 오프닝 승객들 역
- 홍기오: 오프닝 승객들 역
- 홍은비: 오프닝 승객들 역
- 김성균: 친구 역 (특별출연) 및 택기의 오랜 친구 봉영 역을 맡았다.
2. 1. 주요 인물
- 양익준: 시인 역 및 팔리지 않는 시인이자 무정자증 환자인 현택기 역을 맡았다.
- 전혜진: 아내 역 및 택기의 아내로, 돈을 벌지 못하는 남편을 대신해 가계를 책임지는 강순 역을 맡았다.
- 정가람: 소년 역 및 도넛 가게에서 일하는 청년 세윤 역을 맡았다.
- 원미연: 노모 역 및 늙은 어머니 역을 맡았다.
- 방은희: 소년 모 역 및 세윤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 이난: 소년 부 역 및 세윤의 아버지 역을 맡았다.
- 김명진: 소녀 역
- 김종수: 동인회장 역
- 백지원: 턱주가리 역
- 김성혁: 청년 1 역
- 한우성: 청년 2 역
- 김성호: 방과후 남학생 역
- 문소현: 방과후 여학생 역
- 최희진: 의사 역
- 신기원: 잔칫집 지인 1 역
- 차정민: 잔칫집 지인 2 역
- 조용휘: 런닝맨게임 남고생 역
- 최재욱: 통닭집 주인 역
- 문신우: 시인 아기 역
- 고시전: 할아버지 역
- 김세홍: 할아버지 아들 역
- 이지은: 알바생 역
- 문희현: 간호사 역
- 최영우: 잔칫집 신랑 역
- 강지혜: 잔칫집 신부 역
- 강민건: 소년일행 역
- 강지우: 소년일행 역
- 홍연이: 소년일행 역
- 송용환: 동인회원들 역
- 송태완: 동인회원들 역
- 이건창: 동인회원들 역
- 이은주: 동인회원들 역
- 이재우: 동인회원들 역
- 최우영: 동인회원들 역
- 한지영: 동인회원들 역
- 소선: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양순덕: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정윤선: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강승훈: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고정민: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김수영: 오프닝 승객들 역
- 박혜란: 오프닝 승객들 역
- 양옥이: 오프닝 승객들 역
- 홍기오: 오프닝 승객들 역
- 홍은비: 오프닝 승객들 역
- 김성균: 친구 역 (특별출연) 및 택기의 오랜 친구 봉영 역을 맡았다.
2. 2. 조연
- 양익준 : 시인 역
- 전혜진 : 아내 역
- 정가람 : 소년 역
- 원미연 : 노모 역
- 방은희 : 소년 모 역
- 이난 : 소년 부 역
- 김명진 : 소녀 역
- 김종수 : 동인회장 역
- 백지원 : 턱주가리 역
- 김성혁 : 청년 1 역
- 한우성 : 청년 2 역
- 김성호 : 방과후 남학생 역
- 문소현 : 방과후 여학생 역
- 최희진 : 의사 역
- 신기원 : 잔칫집 지인 1 역
- 차정민 : 잔칫집 지인 2 역
- 조용휘 : 런닝맨게임 남고생 역
- 최재욱 : 통닭집 주인 역
- 문신우 : 시인 아기 역
- 고시전 : 할아버지 역
- 김세홍 : 할아버지 아들 역
- 이지은 : 알바생 역
- 문희현 : 간호사 역
- 최영우 : 잔칫집 신랑 역
- 강지혜 : 잔칫집 신부 역
- 강민건 : 소년일행 역
- 강지우 : 소년일행 역
- 홍연이 : 소년일행 역
- 송용환 : 동인회원들 역
- 송태완 : 동인회원들 역
- 이건창 : 동인회원들 역
- 이은주 : 동인회원들 역
- 이재우 : 동인회원들 역
- 최우영 : 동인회원들 역
- 한지영 : 동인회원들 역
- 소선 :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양순덕 :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정윤선 :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강승훈 :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고정민 : 고스톱 아줌마 / 친척들 역
- 김수영 : 오프닝 승객들 역
- 박혜란 : 오프닝 승객들 역
- 양옥이 : 오프닝 승객들 역
- 홍기오 : 오프닝 승객들 역
- 홍은비 : 오프닝 승객들 역
- 김성균 : 친구 역 (특별출연)
3. 줄거리
아름다운 제주도를 배경으로, 시인 택기는 창작의 고통과 무능력함 속에서 살아간다. 그의 아내 강순은 생활력 강한 모습으로 남편을 뒷바라지하지만, 무정자증이라는 현실 앞에서 좌절한다.[8] 어느 날, 택기는 항구에 새로 문을 연 도넛 가게에서 일하는 소년 세윤을 만나게 되고, 그에게서 묘한 감정과 영감을 얻는다. 택기는 세윤에게 점점 더 깊이 빠져들지만, 이들의 관계는 위태로운 균형 위에 놓인다.[8]
4. 영화 정보
4. 1. 제작 과정
4. 2. 수상 및 후보
2017년 제18회 전주국제영화제 전주 시네마 프로제트에 초청되었다. 같은 해 제13회 제주영화제 제주트멍, 제30회 도쿄국제영화제 페이사쥬, 제42회 토론토국제영화제 디스커버리 부문에도 초청되었다. 2017년 제18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각본상(김양희)을 수상하였다. 제12회 파리한국영화제 페이사쥬 섹션에도 초청되었다.2018년에는 제12회 대종상영화제 신인남자배우상, 제44회 시애틀국제영화제 현대 세계 영화, 아시안 크로스로드 부문에 초청되었다. 제23회 춘사영화제에서는 신인남우상과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제13회 런던국제영화제 특별상영, 제41회 예테보리국제영화제 뉴 보이스, 제28회 시네퀘스트 영화제 장편영화 부문, 제5회 들꽃영화상 조연, 신인배우, 시나리오, 극영화 신인감독상 부문에도 초청되었다.
제18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4]과 제18회 여성영화인축제[5]에서 각본상(김양희)을 수상했다. 제8회 전주 프로젝트 마켓에서는 대상과 관객상을 받았다.
5. 평가
《시인의 사랑》은 섬세한 연출과 배우들의 호연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양익준은 무기력한 시인의 복잡한 내면을 설득력 있게 그려냈으며, 전혜진은 강인하면서도 연약한 아내의 모습을 인상적으로 표현했다. 정가람은 위태로운 소년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JeonJu Intl. Film Festival
http://eng.jiff.or.k[...]
[2]
웹사이트
The Poet and The Boy (2017)
http://www.koreanfil[...]
Korean Film Biz Zone
[3]
웹사이트
'The Poet and the Boy' ('Siinui sarang'): Film Review {{!}} TIFF 2017
https://www.hollywoo[...]
2017-09-14
[4]
웹사이트
"[공식입장] 홍상수, 부산영평상 대상…권해효·한예리 男女연기상"
http://news.chosun.c[...]
2020-07-20
[5]
웹사이트
"여성 무대 많았으면" 여성영화인상 받은 배우 나문희
http://star.ohmynews[...]
2017-12-13
[6]
웹사이트
제23회 춘사영화제 5월18일 개최..홍상수·김민희 참석하나
http://newsen.com/ne[...]
2018-05-03
[7]
웹사이트
제55회 대종상, 각 부문 후보 공개…'공작' 12개 최다부문 노미네이트
http://www.sportsseo[...]
2018-09-21
[8]
웹사이트
映画『詩人の恋』公式サイト
https://shijin.espac[...]
2020-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